.net (4) 썸네일형 리스트형 .NET을 사용하는 회사 검색 사이트 .NET을 사용하는 회사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https://dotnetboom.site/ domain : 가비아hosting : firebasedata reference : https://github.com/Hyolog/list-of-companies-using-dotnetgithub : https://github.com/Hyolog/DotNetBoom site : https://dh-0501.tistory.com/github : https://github.com/Hyolog/Hyolog.github.io MSTest vs NUnit compare unit test framework .NET .NET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닛 테스트 프레임워크 두 가지 간단 비교 MSTest vs NUnit 공통점 .NET Framework를 타겟으로 한다. Unit Test를 목적으로 한다. SUnit(Smaltalk's testing framework)로 부터 유래되었다. Group fixtures를 지원한다. Data generator를 지원하지 않는다. Mocks 서비스를 지원한다.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함) 차이점 MSTest CC BY 3.0 라이센스를 따른다. MS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보다 최적화되어있다. 업데이트가 상대적으로 적다. (VS 버전당 하나) 느리다는 평이 많다. Reflection을 지원한다. NUnit MIT 라이센스를 따른다.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WPF TextBlock vs Label 간단한 텍스트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컨트롤이 대표적으로 TextBlock과 Label이다. 둘 다 비슷한 용도로 써왔던 것 같은데 분명 다른 컨트롤이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궁금해 찾아보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Label은 기능이 많고 TextBlock은 심플하다 Label이 WPF라면 TextBlock은 Winform 같은 느낌이랄까 TextBlock은 FrameworkElement를 상속한다. 즉, 프레임워크 바로 밑단의 컨트롤이다. (기능이 별로 없고 가볍다) 그에 반해 Label은 ContentControl을 상속한다. ContentControl은 Control을 상속하고 Control이 FrameworkElement를 상속한다. 즉, Lable은 Control, ContentControl의 .. .NET Clickonce localization과 게시 언어 정리 1. 필요에 의해 게시할 프로그램의 '게시 언어'를 설정해야 할 때가 있다. 2. '게시 언어'를 설정하면 응용 프로그램 매니페스트의 assemblyIdentity 중 language값이 설정한 값으로 변경된다. (default는 neutral) 2-2. 글의 주제가 localization과 관련이 있는 만큼 다국가 지원을 위해 게시 툴을 별도로 만들어 사용한다면 아마 내부적으로 MSBuild를 많이 사용할 텐데 빌드 시에 TargetCulture값을 옵션으로 주면 '게시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msbuild.Build($@"""{projectFilePath}"" /t:build;publish /p:Configuration=Release;PublishDir={publishPath};TargetCult.. 이전 1 다음